목록전체 글 (97)
시작하는 중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History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History_API 오늘은 History API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리액트를 못쓰는 상황인 프로젝트에 들어간다면, 리액트 라우터도 못쓸 것 같아서 연습 그걸 떠나서 리액트 라우터를 파헤쳐봤을 때 봤던 이 History API가 궁금했다. History 문서를 보기 전에, 개발자도구에서 history를 출력해보려고 했다. 이런 형식인 걸 알았으니까 다시 공식문서를 보면, DOM의 Window 객체는 history 객체를 통해 브라우저의 세션 기록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history는 사용자를 자신의 방문 ..

webpack 웹팩은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웹팩은 모듈 번들로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듈 번들러 중 하나이기도 하다. 모듈 번들링은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여러 자원들을 하나의 파일로 병합해주는 동작이다. 웹팩을 왜 써야할까? 성능 압축을 통해 크기를 줄이고, 이를 다운로드해야하는 클라이언트가 이를 더 빠르게 다운로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성능적인 부분 때문에 사용해야한다고 볼 수 있다. 다운로드가 빠르다면, 페이지 로딩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고 UX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체감을 한다는 것이다. 동일 변수명의 오염 1.js에서 a를 1로 정의하고 있고, 2.js에서 b를 2로 정의하고 있다면, 저 console.log(a)는 어떻게 될까? 2가 출력된다. 이렇듯 변수명이 겹쳐서 스코프 ..

싸피에서의 마지막 팀 프로젝트가 끝났다. 약 11개월간 많은 일들이 있었다. 웹도 하나도 모르던 내가 웹을 알아가고, 어떻게 하면 취업시장에서 남들보다 앞서갈 수 있을지 고민하며 지낸 시간이었다. 하지만, 결국에는 취업을 하진 못했으니 앞서가진 못한 것 같다. 하지만 개발자로써 어떻게 성장하고 싶은지는 알 수 있게된 시간이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책을 많이 읽었다. 가고 싶던 회사도 떨어져서, 알고리즘 문제나 CS에는 시간을 덜 써도 되서 책을 많이 읽었다.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이 2가지 책이다.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은, 배민 스터디 모집에서 우아한 형제들 개발자 분께서 사용하신다고 공지하신 책이었고,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는 ios를 준..

유인동님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본편 유인동님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응용편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9일부터 지금까지 팀 프로젝트 + 강의 두개 + 책 한권을 읽느냐고 포스팅도 못한 것 같다.. 라우터도 만들어봐야하고 리액트 쿼리도 정리해야하고 취준도 해야하는 바쁜 시간인데, 너무 재밌어서 좀 빠진 것 같다. 코드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던 시간인 것 같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왜 필요한가, 어떤 패러다임인가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에 대한 시각을 하나 더 생성하는 인사이트를 기른 시간인 듯 싶다. 책에서 말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를 순수 함수로써 데이터를 다루고자 함이다. 하지만, 현재 프로덕트들에서는 온전한 순수함수들만 존재할 수가 없다.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