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7)
시작하는 중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다. application은 카카오톡, 크롬 같은 흔히 말하는 App을 말하고 programming은 프로그래밍하는 것 자체를 말하는 것이면 Interface란 무엇인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_(%EC%BB%B4%ED%93%A8%ED%8C%85) 인터페이스 (컴퓨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이다. 즉, 사용자가 기기를 쉽게 동작시키는 ko.wikipedia...

0 version 2를 통하면 요소 하나하나에 접근해서 eventListener를 달아줘야하지만 version 1을 통하면 nodeList형태로 접근하여 불필요한 중복을 줄일 수 있다. querySeletor를 하면 node 객체 하나를 가져오지만 querySeletorAll을 하면 nodeList 형태로 가져오고 .forEach 같은 배열 메서드를 사용 할 수 있다. forEach를 통해 요소 하나씩 가져오고 요소 하나마다 addEventListener를 추가하여 요소마다 이벤트 발생을 알 수 있고 event.target을 하면 이벤트가 일어난 node를 알 수 있고 event.target.classList를 통해서 이벤트가 일어난 tag의 class list를 알 수 있고 해당 리스트의 인덱스에 접근..
Django view 작성 방법에는 Function Based View와 Class Based View가 있다. 기존에는 FBV를 통해 views.py 파일에 def를 통한 function을 선언하고 decorator와 request.method에 대한 조건을 걸어서 HTTP method를 분기처리했다. # views.py @api_view(['GET', 'PUT', 'DELETE', 'POST']) def review_detail(request, review_pk): if request.method == "GET": review = get_object_or_404(Review, pk=review_pk) serializer = ReviewSerializer(review) return Response(se..
const fs = require('fs') // 문제를 풀 때는 이거로 let input = fs.readFileSync('./input.txt').toString().trim().split('\n') // 제출시에는 이거로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1. 우선 file system 이라는 모듈을 import 해와서 fs에 할당한다. 2. 그런 다음 input.txt라는 파일 형태로 저장해놓고 file system으로 input.txt 파일을 읽는 것 2-1. 이렇게 읽으면 개행문자(\n와 \r)까지 전부 읽는다. 3. toString()을 통해 문자열로 변환하고 4. trim() 문자열 끝의 공백을..